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mlops
- 하둡
- cloudera
- 빅데이터플랫폼
- apache spark
- pyspark
- hadoop
- AWS SageMaker
- 빅데이터
- DataEngineering
- 추천시스템
- spark
- 데이터엔지니어링
- eks
- 개발자혜성
- 데이터엔지니어
- kubernetes
- Python
- BigData
- redis bloom filter
- dataengineer
- Spark structured streaming
- 블로그
- Data engineering
- kafka
- recommendation system
- Terraform
- 개발자
- 하둡에코시스템
- 클라우데라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CRUD (1)
Hyesung Oh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N87D/btrDYdTNrOX/M8ZLnyGSceLJyHNrxpakSK/img.png)
REST API가 뭐에요? API가 뭐에요? Web API가 뭐에요? 등의 질문은 본인 경험상 회사 기술 면접뿐만 아니라, 어디가서 본인을 개발자라고 소개한다면 간혹 받을 수 있는 질문인 것 같다. 그런데 실무에서 매일 개발 유지 보수하면서도, 막상 질문을 받으면 썩 만족스럽게 답변을 하지 못하는 본인을 심심찮게 발견하곤 했다. 따라서 이번 포스팅은 어디가서 해당 질문을 갑자기 받더라도 명확하고 간결하게 대답하기 위한 본인만의 cheet sheet이다.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요, 라고 답변하면 이제 막 기술 면접 준비한 신입 티가 팍팍 날 것 같지 않은가.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버튼 정도로 설명한다면 사전적 의미 및 실사용 사례에서 ..
Web
2022. 6. 4. 01:29